5 계층

 

[ Repeater (L1) ]

Repeater

- 에러 인식은 불가하며 신호를 그래도 전달.

- 모든 포트에 데이터 전송하므로 충돌 도메인 분리가 이뤄지지 않아 사용자가 많을 수록 속도가 느림

- physical layer에서 사용(물리계층)

 

repeater의 예)

USB repeater
Hub

 

[ Bridges (L2) ]

- data link layer 에서 동작 (physical layer에서도 동작)

- 단순 전송만 하는 L1에서 에러 인식 및 필터링 기능이 추가됨.

- address/port를 기록한 table을 기준으로 동작/데이터 전송(L1과 달리 보내고자 하는 port에만 전송)

- 소프트웨어 기반

 

Bridge

- Transparent : station은 bridge의 존재를 모름

- Learning : bridge는 데이터 전송시 station의 address와 port를 기록하여 다음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를 수신할 station에만 데이터 전송

 

# bridge 에서의 Loop

bridge Loop

 

# bridge Loop 를 해결하기 위한 Spanning tree

- Loop 가 없도록 port간의 브릿지를 거친 경로가 1개만 존재하도록 설계

- bridge 끼리 BPDUs (bridge protocol data units) 를 주고 받음. 

- smallest IP가 대표가 되도록. 

Spanning tree의 예 (B3->LAN4 는 1, LAN4->B3는 0이 그림에서 생략됨)

 

[ Switch (L2) ]

- L1의 Hub와 달리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port에만 전송(많은 수의 사용자가 붙어도 속도 지장 없음)

- bridge와 달리 하드웨어 기반으로 빠르고 포트 수가 백여개까지 가능. (bridge는 최대 포트수가 16개)

 

[ Router (L3) ]

- ( L1 repeat + L2 error filtering + L3 routing )기능

-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전달

- 3계층의 IP 사용

 

[ Gateway (L7) ]

- 완전히 서로 다른 protocol 간 연결하는데 사용

 

# Backbone networks

network와 network를 연결하는 역할

collapsed backbone

 

 

※ KOCW 성균관대학교 안성진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참고

계층별 장비 참고 : developyo.tistory.com/160?category=746382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