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 Wireless LAN ]
- IEEE 802.11
- 두가지 종류의 서비스 존재 : BSS(Basic Service Set), ESS
[ 1. BSS (Basic Service Set) ]
AP(Access Point)의 존재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눔
* AP(Access Point) : IP 공유기 (router) 를 의미
1) Infrastructure mode
- AP 가 있음
-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
2) Ad hoc mode
- AP 가 없음
- eg: bluetooth
[ 2. ESS (Extended Service Set) ]
- 하나의 DS에 여러개의 BSS가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
* DS(Distribution System) : AP가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
- ESS를 구분하기 위해 ESSID(Extended Service Set) 사용, 이를 문자열로 알아보기 쉽게 만든게 SSID
[ 무선랜의 MAC(media access control) ]
1) DCF (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) : CSMA/CA 와 비슷.
2) PCF (Point Coordination Function) : POLLING 방식이므로 AP가 반드시 있어야 사용 가능. (optional)
[ # DCF (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) ]
- DCF는 CSMA/CA 사용
* 무선랜에서 CSMA/CD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
: Signal fading으로 인해 collision 감지가 힘듦 (유선에선 왕복시간으로 collision을 유추하지만 무선에선 signal fading으로 왕복시간이 무의미)
[ 무선랜에서 발생하는 문제 ]
1. Hidden Terminal Problem
# Hidden Terminal Problem 해결방법
RTS : Request To Send (전송 요청)
CTS : Clear To send (채널 사용 가능)
2. Exposed Terminal Problem
[ # NAV (Network Allocation Vector) ]
: no carrier sensing
* 유선LAN 에선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각각의 station은 carrier sensing 을 함.
# DCF 와 PCF 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
# 무선랜의 Frame format
# 무선랜 주소 체계 (wireless LAN addressing mechanism)
toDS fromDs 0, 0 동일한 BSS 내에서 컴퓨터간 데이터 전송
toDS fromDs 0, 1 AP로부터 오는 경우
toDS fromDs 1, 0 AP로 가는경우
toDS fromDS 1, 1 은 AP to AP 를 의미
[ Bluetooth ]
- IEEE 802.15
- 무선랜 기술 중 하나
- 서로다른 기능을 하는 기기간의 연결을 하기 위해 생겨남
- PAN(Personal area network)
- ad hoc network (AP가 없는 BSS)
- 두가지 타입 : piconet, piconet을 확장시킨 scatternet
# piconet
- 블루투스에선 piconet 을 구성함.
- 최대 8개의 station(동시에 active상태의 station은 최대 8개), 1개는 primary, 나머지는 secondaries
# scatternet
piconet 에서의 secondary station 한개가 다른 piconet 의 primary 역할을 하는 구조
※ KOCW 성균관대학교 안성진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참고